펫뉴스
[동약특집] '반려동물 및 가축 개체수 증가'... 전망 좋은 해외 동물의약품 시장
- 작성일2023/02/18 09:59
- 조회 30
-연평균 성장률 4.6% 유지...2027년 약 300억 달러 예측
동물 의약품 시장 점유율, 북미 이어 유럽 아시아-태평양 확대
조에티스, 엘랑코 등 동물 의약품 기업 쉴 새 없이 성장
전 세계적인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 가축 개체수 증가 등에 발맞춰 글로벌 동물 의약품 시장은 현재 청신호 상태다.
지난 2021년 공개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글로벌 시장동향보고서 ‘동물 의약품 시장’에 따르면, 전 세계 동물 의약품 시장은 2019년 기준 229억 7306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6%로 증가해 오는 2027년 기준 296억 9819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개중 반려동물용 특수 의약품 시장의 경우 2019년 88억 7652만 달러에서 연평균 4.71%로 성장해 오는 2024년 111억 7436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쾌속 성장하는 동물 의약품 시장
동물 의약품 시장이 성장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동물의 만성 질환 증가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 △가축 개체수 증가 등이 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캐나다 자연 보호 협회(Nature Conservancy of Canada)에서 발표한 연구는 코로나19 제한이 완화되며 반려동물 양육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캐나다 프린스 에드워드 아앨린드 주에서는 반려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또한, 펫산업 선진국인 미국의 농무부는 2022년 기준 미국에는 소·송아지 9190만여 마리, 양 507만여 마리 등이 있고 이는 향후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라고 밝혀 동물 의약품 시장의 성장 예측에 확신을 더했다.
북미, 동물 의약품 시장의 중심대
글로벌 동물 의약품 시장의 선두주자 지역은 2019년 기준으로 동물 의약품 시장 점유율 전 세계 기준 41.3%(94억 9477만 달러)를 차지했던 북미가 꾸준히 이어나갈 전망이다.
북미 반려동물건강보험협회(NAPHIA)의 2022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미국에서 보험 가입된 반려동물의 수는 약 390만 마리로 2020년보다 28% 증가했으며, 반려인들의 반려동물 관리 증가가 동물 의약품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이어 미국 농무부(USDA) 동식물 건강 검사국(APHIS)는 지난 2022년 5월 기준 약 3796만 마리의 새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됐음을 보고해 조류 전염병 치료제와 같은 동물용 의약품 연구 개발 활동이 가속화할 가능성을 보였다.
▲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북미 지역 다음으로 시장 규모가 큰 유럽 지역은 지난 2019년 기준 66억 9205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5%로 증가해 오는 2027년 85억 8872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최근 펫산업 시장에 신흥강자로 자리 잡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또한 2019년 42억 1096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3%로 증가해 2027년 기준 62억 692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승승장구하는 동물 의약품 탑 플레이어
현재 전 세계 동물 의약품 시장의 주요 기업은 △조에티스(Zoetis) △엘랑코(Elanco) △버박(Virbac S.A)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베토퀴놀(Vetoquinol S.A) 등이 있다.
▲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지난 2022년 4월 엘랑코는 유기체 기업 징코 바이오웍스(Ginkgo Bioworks)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업 ‘바이옴 에딧(Biom Edit)’을 론칭해 프로바이오틱스, 공학 미생물 치료제 및 동물 건강을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22년 1월 조에티스의 솔렌시아 주사제가 미국식품의약국(FDA) 인증 고양이 골관절염 통증 치료제로 승인받았으며, 이어 9월 동물 의약품 기업 쥬록스(Jurox) 인수를 완료하는 등 글로벌 동물 의약품 시장의 시장 확장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동물 의약품 시장 성장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한국반려동물신문(http://www.pet-news.or.kr)